{"created":"2021-09-16T07:02:54.977855+00:00","id":2001386,"links":{},"metadata":{"_buckets":{"deposit":"b0db8bae-1955-472f-b24c-f6e266353359"},"_deposit":{"id":"2001386","owner":"1","owners":[1],"pid":{"revision_id":0,"type":"depid","value":"2001386"},"status":"published"},"_oai":{"id":"oai:repository.dl.itc.u-tokyo.ac.jp:02001386","sets":["43:53:5431:1631775369556","9:504:5433:1631775323463"]},"author_link":[],"item_4_biblio_info_7":{"attribute_name":"書誌情報","attribute_value_mlt":[{"bibliographicIssueDates":{"bibliographicIssueDate":"2021-03-31","bibliographicIssueDateType":"Issued"},"bibliographicPageEnd":"39","bibliographicPageStart":"19","bibliographicVolumeNumber":"24","bibliographic_titles":[{"bibliographic_title":"年報地域文化研究 = The Komaba journal of area studies, the University of Tokyo"}]}]},"item_4_description_5":{"attribute_name":"抄録","attribute_value_mlt":[{"subitem_description":"일본의 민족교육론은 일본민족이 피억압민족이라는 점을 전제로 했다. 민족교육론의 영향을 받은 교육연구전국집회(이하, 교연)에서 일본민족과 조선민족의 관계는 ʻ동병상련ʼ인 피억압민족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조선인의 교육문제는 ʻ미 제국주의ʼ의 침략을 원인으로 하는 일본내의 ʻ소수민족ʼ문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시각은 일본제국이 ʻ다민족 국가ʼ라는 인식을 전제로 한ʻ(패전)이전의 민족주의ʼ와 결부되어 조선인을 일본인과 ʻ똑같이ʼ 취급하는 것이 평등이라는 인식이 공유되었고, 식민지 지배에 대한 책임의식은 희석되었다. / 도쿄도립조선인학교교직원조합(이하, 조교조)는 전후 일본의 민족교육론의 ʻ피억압민족ʼ으로서의 자기인식을 공유하면서 재일조선인 교육문제의 해결을 도모했으나, 그 과정에서 일본의 민족교육론과 인식의 괴리가 드러났다. 조교조는 조선인교육문제의 원인으로 미 제국주의를 거론하지 않았다. 또한, ʻ피억압민족ʼ이라는 막연한 동질감을 제외하고는 민족교육론과 재일조선인교육문제의 접점을 찾기 어렵다는 점도 여실히 드러났다. 제 3 회 교연에서 조교조는 조선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조선어와 조선사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큰 반향은 없었고, 4 차부터는 조선어와 조선사 교육이 의제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 조교조의 해산은 사실상 ʻ공립조선인학교ʼ에 의한 조선인의 교육보장이라는 구상의 좌절을 의미하였으며, 식민지 지배에 대한 책임의식을 전제로 하지 않고 ʻ소수민족ʼ문제라는 관점에서 재일조선인의 교육문제에 접근할 때, ʻ공립조선인학교ʼ의 유지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증명하는 사건이기도 했다.","subitem_description_language":"ko","subitem_description_type":"Abstract"}]},"item_4_identifier_registration":{"attribute_name":"ID登録","attribute_value_mlt":[{"subitem_identifier_reg_text":"10.15083/0002001386","subitem_identifier_reg_type":"JaLC"}]},"item_4_publisher_20":{"attribute_name":"出版者","attribute_value_mlt":[{"subitem_publisher":"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地域文化研究専攻","subitem_publisher_language":"ja"}]},"item_4_source_id_10":{"attribute_name":"書誌レコードID","attribute_value_mlt":[{"subitem_source_identifier":"AA11222699","subitem_source_identifier_type":"NCID"}]},"item_4_source_id_8":{"attribute_name":"ISSN","attribute_value_mlt":[{"subitem_source_identifier":"13439103","subitem_source_identifier_type":"PISSN"}]},"item_4_text_4":{"attribute_name":"著者所属","attribute_value_mlt":[{"subitem_text_language":"ja","subitem_text_value":"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地域文化研究専攻"}]},"item_creator":{"attribute_name":"著者","attribute_type":"creator","attribute_value_mlt":[{"creatorAffiliations":[{"affiliationNames":[{"affiliationName":"東京大学","affiliationNameLang":"ja"}]}],"creatorNames":[{"creatorName":"姜, 晶薫 ","creatorNameLang":"ja"},{"creatorName":"강, 정훈","creatorNameLang":"ko"}]}]},"item_files":{"attribute_name":"ファイル情報","attribute_type":"file","attribute_value_mlt":[{"accessrole":"open_date","date":[{"dateType":"Available","dateValue":"2021-09-16"}],"displaytype":"detail","filename":"NCk_24_002.pdf","filesize":[{"value":"546.5KB"}],"format":"application/pdf","licensetype":"license_note","mimetype":"application/pdf","url":{"objectType":"fulltext","url":"https://repository.dl.itc.u-tokyo.ac.jp/record/2001386/files/NCk_24_002.pdf"},"version_id":"ff7794ac-c8c7-4f68-acc0-fc3d4623be3f"}]},"item_language":{"attribute_name":"言語","attribute_value_mlt":[{"subitem_language":"jpn"}]},"item_resource_type":{"attribute_name":"資源タイプ","attribute_value_mlt":[{"resourcetype":"departmental bulletin paper","resourceuri":"http://purl.org/coar/resource_type/c_6501"}]},"item_title":"戦後日本における民族教育論と在日朝鮮人教育問題の接点と乖離 : 東京都立朝鮮人学校教職員組合の活動を中心に","item_titles":{"attribute_name":"タイトル","attribute_value_mlt":[{"subitem_title":"戦後日本における民族教育論と在日朝鮮人教育問題の接点と乖離 : 東京都立朝鮮人学校教職員組合の活動を中心に","subitem_title_language":"ja"},{"subitem_title":"전후 일본의 민족교육론과 재일조선인 교육문제의 접점과 괴리 : 도쿄도립조선인학교교직원조합의 활동을 중심으로","subitem_title_language":"ko"}]},"item_type_id":"4","owner":"1","path":["1631775369556","1631775323463"],"pubdate":{"attribute_name":"PubDate","attribute_value":"2021-09-16"},"publish_date":"2021-09-16","publish_status":"0","recid":"2001386","relation_version_is_last":true,"title":["戦後日本における民族教育論と在日朝鮮人教育問題の接点と乖離 : 東京都立朝鮮人学校教職員組合の活動を中心に"],"weko_creator_id":"1","weko_shared_id":-1},"updated":"2022-12-19T05:39:22.961365+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