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2021-03-01T06:45:46.030474+00:00","id":27605,"links":{},"metadata":{"_buckets":{"deposit":"94b07c14-0f18-4e07-a28e-31dc24a1da8e"},"_deposit":{"id":"27605","owners":[],"pid":{"revision_id":0,"type":"depid","value":"27605"},"status":"published"},"_oai":{"id":"oai:repository.dl.itc.u-tokyo.ac.jp:00027605","sets":["23:3294:3295:3301","9:504:3297:3302"]},"item_4_alternative_title_1":{"attribute_name":"その他のタイトル","attribute_value_mlt":[{"subitem_alternative_title":"The Aspects of Canoes unearthed from Bibong-ri site, Korea"},{"subitem_alternative_title":"한국 비봉리패총에서 출토된 통나무배의 양상"}]},"item_4_biblio_info_7":{"attribute_name":"書誌情報","attribute_value_mlt":[{"bibliographicIssueDates":{"bibliographicIssueDate":"2014-03-29","bibliographicIssueDateType":"Issued"},"bibliographicPageEnd":"186","bibliographicPageStart":"159","bibliographicVolumeNumber":"28","bibliographic_titles":[{"bibliographic_title":"東京大学考古学研究室研究紀要"}]}]},"item_4_description_5":{"attribute_name":"抄録","attribute_value_mlt":[{"subitem_description":"本稿では飛鳳里貝塚で出土した丸木舟と櫂の出土状況を把握し、縄文時代の丸木舟と比較して韓半島丸木舟の硏究を予察した。飛鳳里貝塚で出土した丸木舟は2隻、櫂は1点である。飛鳳里貝塚の1号舟は新石器時代の早期前半のもので、縄文時代の丸木舟より早い。飛鳳里貝塚の丸木舟は鰹節形である可能性が高く、縄文時代の丸木舟形態分類の2A類型に類似する。飛鳳里貝塚の丸木舟は原木を刳り貫いてつくる単材方式である。加工においては丸木舟のところどころに焦痕と石斧による加工痕が残る。飛鳳里貝塚の丸木舟の材料はマツである。縄文時代の丸木舟は縄文早期末から製作しはじめ、後期にいたっては集中的につくられる。平面形態は2A類型に分類される鰹節形がもっとも多い。時期的にも前期から晩期まで全時期にかけて発見される。縄文時代の丸木舟は原木を縦割りにして刳り貫く単純な構造の単材方式であり、後期・晩期には丸木舟の舷側に板材をつける複材方式が用いられることもある。丸木舟には船底部に幅の狭い横帯が存在するものがある。縄文時代の丸木舟の材料はスギとカヤが主である。 |본고에서는 비봉리패총 통나무배의 출토현황을 살펴보고 , 일본열도에서 발견된 縄文時代 통나무 배와 견주어 한반도 통나무배의 연구를 예찰해 보았다 . 한반도에서 신석기시대의 배와 관련된 유구와 유물은 동삼동패총 출토의 배모양토기 , 울주 반구대 암각화의 4 기의 배 그림 , 서포항유적의 고래뼈로 만든 노 , 비봉리패총의 통나무배 2 기가 있다 . 비봉 리 1 호 통나무배는 신석기시대 早期前半, 2 호 통나무배가 前期前半의 시기를 나타내고 있어 , 日本 에서 출토된 통나무배의 시기보다 빠르다고 할 수 있다 . 비봉리 출토 통나무배는 鰹節形일 가능성이 높으며 , 日本列島 통나무배 형태분류의 2A 유형과 유사하다 . 비봉리의 통나무배는 일본지역과 마찬 가지로 원목을 파내어 만드는 単材方式을 이용하고 있다 . 가공에 있어서는 , 통나무배의 군데군데 불 에 그을린 흔적과 石斧로 인한 가공흔적이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 불로 태우면서 石斧로 찍어내는 방법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비봉리 통나무배의 재료는 소나무를 사용하고 있으며 , 삼목과 비자 나무가 많이 사용되는 日本에서는 소나무의 사용빈도가 극히 낮다 . 縄文時代의 통나무배는 120 여기에 달하며 , 早期 말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中期부터이고 , 後期, 晩期에 이르러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평면 형태에 있어서는 割竹形, 鰹節形, 折衷形이 사용되고 있으며 , 그 중에서도 鰹節形이 가장 많고 , 단면은 半円形이 주 류를 이룬다 . 이른바 縄文時代 통나무배를 대표하는 2A 유형에 속한다 . 시기적으로도 前期부터 晩期 까지 전 시기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 縄文時代의 통나무배는 제작 도중의 미완성된 통나무배 , 사용 중인 통나무배 , 폐기된 통나무배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대개 통나무를 갈라서 파내는 단순 한 구조의 単材方式이지만 , 시기가 지나 後期, 晩期에는 통나무배의 舷側에 板材를 붙이는 複材方式 의 통나무배가 제작되기도 한다 . 통나무배 제작은 가공할 공간을 불로 태우면서 石斧를 이용하여 파 내는 방법이 있으며 , 舟底部에 폭이 좁은 横帯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 縄文時代 통나무배의 재료는 15 종의 수종이 있어 다양하지만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종은 삼목과 비자나무이다 . 지금까지 日本列島에서 발견된 통나무배의 연구상황을 근거로 하여 , 앞으로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통나무배의 기초 데이터를 충실히 만들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 본고가 그 기초적 자료에 조금이나 마 보탬이 되기를 기원해 본다 .","subitem_description_type":"Abstract"}]},"item_4_full_name_3":{"attribute_name":"著者別名","attribute_value_mlt":[{"nameIdentifiers":[{"nameIdentifier":"60636","nameIdentifierScheme":"WEKO"}],"names":[{"name":"Yi, Sang Gyun"}]},{"nameIdentifiers":[{"nameIdentifier":"60637","nameIdentifierScheme":"WEKO"}],"names":[{"name":"이상균"}]}]},"item_4_identifier_registration":{"attribute_name":"ID登録","attribute_value_mlt":[{"subitem_identifier_reg_text":"10.15083/00027596","subitem_identifier_reg_type":"JaLC"}]},"item_4_publisher_20":{"attribute_name":"出版者","attribute_value_mlt":[{"subitem_publisher":"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系研究科・文学部考古学研究室"}]},"item_4_source_id_10":{"attribute_name":"書誌レコードID","attribute_value_mlt":[{"subitem_source_identifier":"AA11190220","subitem_source_identifier_type":"NCID"}]},"item_4_source_id_8":{"attribute_name":"ISSN","attribute_value_mlt":[{"subitem_source_identifier":"18803784","subitem_source_identifier_type":"ISSN"}]},"item_4_text_21":{"attribute_name":"出版者別名","attribute_value_mlt":[{"subitem_text_value":"The Department of Archaeology Faculty of Letters, The University of Tokyo"}]},"item_creator":{"attribute_name":"著者","attribute_type":"creator","attribute_value_mlt":[{"creatorNames":[{"creatorName":"李, 相均"}],"nameIdentifiers":[{"nameIdentifier":"60635","nameIdentifierScheme":"WEKO"}]}]},"item_files":{"attribute_name":"ファイル情報","attribute_type":"file","attribute_value_mlt":[{"accessrole":"open_date","date":[{"dateType":"Available","dateValue":"2017-06-12"}],"displaytype":"detail","filename":"kouko2806.pdf","filesize":[{"value":"12.3 MB"}],"format":"application/pdf","licensetype":"license_note","mimetype":"application/pdf","url":{"label":"kouko2806.pdf","url":"https://repository.dl.itc.u-tokyo.ac.jp/record/27605/files/kouko2806.pdf"},"version_id":"0cad98fe-08ca-48e4-9352-d2cf483bebc7"}]},"item_language":{"attribute_name":"言語","attribute_value_mlt":[{"subitem_language":"jpn"}]},"item_resource_type":{"attribute_name":"資源タイプ","attribute_value_mlt":[{"resourcetype":"departmental bulletin paper","resourceuri":"http://purl.org/coar/resource_type/c_6501"}]},"item_title":"韓国飛鳳里貝塚で出土した丸木舟の様相","item_titles":{"attribute_name":"タイトル","attribute_value_mlt":[{"subitem_title":"韓国飛鳳里貝塚で出土した丸木舟の様相"}]},"item_type_id":"4","owner":"1","path":["3302","3301"],"pubdate":{"attribute_name":"公開日","attribute_value":"2014-07-09"},"publish_date":"2014-07-09","publish_status":"0","recid":"27605","relation_version_is_last":true,"title":["韓国飛鳳里貝塚で出土した丸木舟の様相"],"weko_creator_id":"1","weko_shared_id":2},"updated":"2022-12-19T04:05:34.30762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