ログイン
言語:

WEKO3

  • トップ
  • ランキング
To
lat lon distance
To

Field does not validate



インデックスリンク

インデックスツリー

メールアドレスを入力してください。

WEKO

One fine body…

WEKO

One fine body…

アイテム

  1. 118 総合文化研究科・教養学部
  2. 30 地域文化研究専攻
  3. 年報地域文化研究
  4. 26
  1. 0 資料タイプ別
  2. 30 紀要・部局刊行物
  3. 年報地域文化研究
  4. 26

日本帝国の朝鮮人外国留学の統制と朝鮮人の対応 : 旅券問題と関連付けて

https://doi.org/10.15083/0002007335
https://doi.org/10.15083/0002007335
36a2ff48-01d7-452a-98a6-36b86a2d84c6
名前 / ファイル ライセンス アクション
NCk_26_003.pdf NCk_26_003.pdf (2.3 MB)
Item type 紀要論文 / Departmental Bulletin Paper(1)
公開日 2023-04-17
タイトル
タイトル 日本帝国の朝鮮人外国留学の統制と朝鮮人の対応 : 旅券問題と関連付けて
言語 ja
タイトル
タイトル 일본제국의 조선인 외국유학 통제와 조선인의 대응 : 여권문제와 관련해서
言語 ko
言語
言語 jpn
資源タイプ
資源 http://purl.org/coar/resource_type/c_6501
タイプ departmental bulletin paper
ID登録
ID登録 10.15083/0002007335
ID登録タイプ JaLC
著者 朴, 成河

× 朴, 成河

ja 朴, 成河
東京大学

en Park, Sungha

Search repository
著者所属
言語 ja
著者所属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地域文化研究専攻
抄録
内容記述タイプ Abstract
内容記述 본고는 식민지기 조선인의 여권문제를 중심으로 일본제국의 외국유학 통제와 조선인의 대응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식민지기 조선인들이 외국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외무성에서 발급한 여권을 소지해야만 했다. 유학생도 예외는 아니었다. 즉, 여권문제는 외국유학의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였다. 유학목적의 여권발급 상황을 보면, 1910 년대에는 10 년간 67 명에 불과 하였다. 그후 약간 증가하였지만, 1930 년대에 들어서 다시 줄어 들었다. 그런데, 외무성으로부터 여권을 발급받은 학생들 중, 많은 수는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들을 통해 당국과 교섭하여 여권을 발급받은 자들이었다. 일본당국이 여권제도를 활용해 조선인의 외국유학을 엄격히 제한하였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민족운동이 확대되는 것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었다. 그러한 당국의 엄격한 제한하 에서도 조선의 청년들은 유학의 길을 모색해 나갔다. 1910 년대 초에는 망명의 형태로 여권없이 도항하는 자들도 있었지만, 일반적으로는 중국에 귀화한 후, 중국여권을 발급받아서 외국유학 길에 올랐다. 그러나, 일본당국은 조선인의 중국 귀하를 인정하지 않았고, 중국여권으로 외국유학 길에 오른 조선인을 검거하였다. 도중에 체포된 자들도 적지 않았다. 한편, 도항에는 성공했지만, 중국여권 소지 유학생들에게는 일시귀국이나 유학을 마치고 조선으로 돌아갈 때에는 일본여권을 발급받아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일본당국은 귀국을 위해 스스로 부정 도항자임을 자백하고 일본여권을 신청한 유학생들에게는 관대한 입장을 보이기도 하였다. 당국의 관할인 조선으로 돌아오는 자들의 여권을 거부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조선으로 돌아온 뒤에도 외국유학 출신자들은 그들이 습득한 지식을 펼 칠수 기회가 제한되었으나, 해방과 함께 한국의 기초를 세우는 데 크게 기여했다.
言語 ko
書誌情報 ja : 年報地域文化研究
en : The Komaba Journal of Area Studies, The University of Tokyo

巻 26, p. 1-23, 発行日 2023-03-31
ISSN
収録物識別子タイプ PISSN
収録物識別子 13439103
書誌レコードID
収録物識別子タイプ NCID
収録物識別子 AA11222699
出版者
出版者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地域文化研究専攻
言語 ja
戻る
0
views
See details
Views

Versions

Ver.1 2023-04-17 07:47:50.305691
Show All versions

Share

Mendeley Twitter Facebook Print Addthis

Cite as

エクスポート

OAI-PMH
  • OAI-PMH JPCOAR 2.0
  • OAI-PMH JPCOAR 1.0
  • OAI-PMH DublinCore
  • OAI-PMH DDI
Other Formats
  • JSON
  • BIBTEX

Confirm


Powered by WEKO3


Powered by WEK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