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KO3
アイテム
新渡戸稲造の農業論とその宗教性 : 「地方学」の形成と展開を中心に
https://doi.org/10.15083/00077212
https://doi.org/10.15083/00077212a657cf60-96fb-45e7-a3df-4122cad73581
名前 / ファイル | ライセンス | アクション |
---|---|---|
![]() |
|
Item type | 紀要論文 / Departmental Bulletin Paper(1) | |||||
---|---|---|---|---|---|---|
公開日 | 2019-07-16 | |||||
タイトル | ||||||
タイトル | 新渡戸稲造の農業論とその宗教性 : 「地方学」の形成と展開を中心に | |||||
言語 | ||||||
言語 | jpn | |||||
資源タイプ | ||||||
資源 | http://purl.org/coar/resource_type/c_6501 | |||||
タイプ | departmental bulletin paper | |||||
ID登録 | ||||||
ID登録 | 10.15083/00077212 | |||||
ID登録タイプ | JaLC | |||||
その他のタイトル | ||||||
その他のタイトル | 니토베 이나조의 농업론과 그 종교성 : 「지방 학」 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 |||||
著者 |
朴, 輪貞
× 朴, 輪貞 |
|||||
著者別名 | ||||||
識別子Scheme | WEKO | |||||
識別子 | 155871 | |||||
姓名 | 박, 윤정 | |||||
著者所属 | ||||||
著者所属 |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 | |||||
抄録 | ||||||
内容記述タイプ | Abstract | |||||
内容記述 | 국제인·교육자로서 널리 알려져 였는 니토베 이나조(新渡戸稲造, 1862-1933) 는 「농정학의 선구자」 라고 일컬어지는 농정학자이기도 하다. 소년시절부터 농엽에 뜻을 두였던 니토베는 삿포로농학교를 입학·졸엽 후 농정학 연구를 위해 미국과 독일에 유학, 1890 (메이지20) 년 『일본토지제도론』 이라는 논문으로 학위를 취득한다. 일본어l 귀국하여 삿포로농학교 교수가 된 니토베는 1898 (메이지31) 년 그간의 연구를 정리하여 『농엽본론』과 『농엽발달사』라는 농정학의 선구적인 엽적이라 평가되는 농엽론을 남긴다. 그 후 니토베는 타이완 총독부에서 탕엽(糖業)정책을 담당, 교토·도쿄제국대학 등에서 식민정책론강의를 하는 등 농엽론이 니토베의 학문적 출발점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그 이후 니토베가 펼친 다양한 활동들을 이해하기 위한 실마리로써, 본고에서는 니토베의 농엽론이 가지는 종교성에 주목한다. 거기에는 니토베가 주장한 「지방학」이라는 새로운 농엽론이 형성되어, 그것이 『당엽개량의견서』(1901)라는 실전을 거쳐, 『식민정책론강의 및 논문집』(1943)에서도 전개되고 였음을 밝혀 나간다. 그 결과, 니토베의 농업론에는 토지와 인간, 경작(노동)이라는 요소가 존재하고, 인간은 농업을 통해 자연(천지)와 공감함으로써 품격고양과 사회개량이 가능하다는 종교적 성격이 그 특정임을 제사한다. 또한 그러한 농업의 종교성은 식민정책론에서도 나타나는데, 거기에는 인간·토지·초월적 힘이라는 세가지 요소, 즉 국적이나 인종을 초월한 「인간」이「오이쿠메네」라는 「토지」를 확대시켜 가는데 있어 「인류 이와의 일종의 힘」의 존재를 인정하는 도식이 탐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방학」 을 통해 보이는 농엽론의 종교성이 니토베 사상의 근간에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니토베는 그 요소들이 존재하는 모든 활동에 종사할 수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
|||||
書誌情報 |
年報地域文化研究 = The Komaba journal of area studies, the University of Tokyo 巻 21, p. 112-134, 発行日 2018-03-31 |
|||||
ISSN | ||||||
収録物識別子タイプ | ISSN | |||||
収録物識別子 | 13439103 | |||||
書誌レコードID | ||||||
収録物識別子タイプ | NCID | |||||
収録物識別子 | AA11222699 | |||||
著者版フラグ | ||||||
値 | publisher | |||||
出版者 | ||||||
出版者 | 東京大学大学院総合文化研究科地域文化研究専攻 |